본문 바로가기

길목 칼럼72

서울 나들이... 그리고 코로나 이후? 아침에 서울에서 오찬모임이 있어서 일찍 종로에 갔습니다. 회의가 마친후 마침 교보문고가 바로 옆이라 들러서 최근 책의 주제를 보았는데, 역시나 코로나였습니다. 베스트셀러 자리에는 코로나이후를 예측하는 내용의 책들이 경제를 비롯한 여러 분야의 예측서들이 꽂혀 있었습니다. 간략하게 2권을 속독하면서 드는 생각은 당연히, 기독교인으로서, 목사로서 코로나시대를 살고 이후를 준비해야 하는데 어떻게 진단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였습니다. 이미 사회에서는 경제, 문화, 교육 등등에서 예측하고 준비하고 앞다투어 선점하려고 노력하는데 나는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가 고민이 되었습니다. 분명한건 다른 모든 위기가 그랬듯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고, 그 기회는 그 상황을 인식하고 그 안의 본질을 본 사람들에게 오는 .. 2020. 6. 11.
가난한 자에 대한 관심, 신앙의 척도 친구들 안녕? 새로운 페이빌로를 받기까지 평안하게 지냈지? 쭈반장도 바쁘게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하며 잘 보냈어. 하루하루를 살아가면서도 어떻게 살아야 의미있게 살아가는 지 늘 궁금해. 우리 친구들도 그럴거야. 혹시 우리의 삶이 내일 하루 밖에 없다고 한다면 친구들은 어떤 마음일까? 내일 하루를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하나님은 우리가 어떻게 살기를 원하고 계실까? 최근에 뉴욕대학교에서 재미있는 실험을 했어. 구글 글래스를 사람들에게 착용 시킨 후 맨해튼 시가지를 걸을때 이들의 시선이 어느곳에 오래 머무르는지를 분석한거야. 이렇게 한 결과 부자일수록 다른 사람에 관심을 덜 기울인다는 결론을 얻었어.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도 비슷한 실험을 했는데, 여기에서도 결론은 부자들이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덜.. 2020. 6. 8.
‘생존전략? 벤치마킹’ ‘생존전략? 벤치마킹’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커피전문점은 다. 2014년말에는 점포수가 1400개를 넘어섰다. 그리고 커피 가격이 가장 저렴한 커피전문점은 어디일까? 브랜드 커피중 가 가장 싸다. 기존 브랜드 커피와 비교해서 30~40% 더 싸다. 10년 전에는 눈에도 띄지 않았던 가 성공한 비결중 하나로 꼽는 것이 '벤치마킹'이다. 는 점포를 낼 때 기본적으로 가 들어서는 곳 주변에 내는 전략을 펼쳤다고 한다. 는 점포 하나를 낼때 다양한 분석과 꽤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한 곳에만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가 자리를 잡은 곳은 그야말로 대박인 곳이다. 다른 커피 전문점들은 가 들어왔으니 들어가기를 포기했는데 는 오히려 그 옆에 자리를 선택해서 들어갔다. 에 사람이 밀려 있을때 보다 커피 가격이 더.. 2020. 6. 4.
빅데이터 시대와 한국교회 요즘 사회 각 분야에서는 빅데이터(Big Data)를 말한다. 선거때가 되면 이 빅데이터의 가치는 커지고 이를 다루는 기관이나 회사는 인기가 많아진다. 빅데이터는 그야말로 크고 많은 데이터를 말하는 것이다. 디지털시대에는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아이디어 정보 등이 무한정 저장되고 인터넷을 흘러다니고 있다. 그런데 이 정보가 모이고 가공되면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빅데이터를 말할때 유명한 사례가 2008년 있었던 미국 대통령 선거이다. 오바마 미 대통령 캠프는 유권자들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를 통해 유권자들이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결정을 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하고 그에 따른 선거 전략을 수립했다. 그리고 그는 대통령이 되었다. 반드시 이것 때문은 아니지만 빅데이터에 대한 중요.. 2020. 5. 9.
졸업후 교회를 떠나는 아이들 그리고 ‘5:1’ 교회학교의 현실이 암담하다. 10년전에 비해 학생 수가 절반 가까이 줄었고 교회학교가 없는 교회가 절반이 넘는다고 하니 상황이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더욱 큰 문제는 교회학교가 이렇게 붕괴되면 앞으로 한국교회를 책임질 수 있는 장년층에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교회학교를 졸업하고 장년부에서 정착해야 하는데, 교회학교가 이를 받쳐주지 못하는 구조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교회학교에서 신앙생활을 해오던 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교회를 떠나는 것도 큰 문제로 다가온다. 교회학교와 장년부사이의 이런 간격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태다. 얼마 전 ChurchLeaders.com 에서 청소년들이 왜 졸업과 동시에 교회를 떠나는지에 대한 기사를 내 보낸 적이 있다. 그 기사에는 수십년간 청소년사역을 해온 카라 파웰.. 2020. 4. 8.
그리스도인과 정치 씨앗부모 잡지에 2017.5월호에 실린 제 칼럼입니다. 우리 친구들 반가워~ 오늘은 우리 친구들이 별로 관심 갖지 않을 법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해. 그건 바로 ‘정치’야. 정치문제는 엄마 아빠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얼핏 듣기도 하고, 얼마 전에는 대통령을 뽑는 선거도 있어서 우리 친구들도 충분히 알고 어느 정도는 관심을 가졌을 것 같기도 해. 그런데 잘 모르겠지? 별로 재미도 없는 것 같고 뉴스에서 전하는 소식들이 부정적이고 좋지 않은 소식들이 많아서... 실제로 우리나라 정치는 무능하고 부패하다는 평가를 많이 받고 있어. 2015년에 168개의 나라를 대상으로 한 부패인식 지수가 발표되었는데, 거기서 우린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의 연합체인 경제협력개발기구 34개 나라중에서 27위로 거의 꼴찌에 가.. 2020. 4. 1.
성막·성전 교육할 때 필요한 3D 그래픽 영상자료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는 다양하고 중요한 신앙적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교회란 무엇인가? 우리의 교회는 성전인가? 건물에 모이는 것만이 주일성수인가? 건물중심, 성전중심의 신앙생활을 깨지 못하고, 표면화된 또 문자화된 신앙생활을 하게 된 이면에, 한국교회의 그와 같은 신앙교육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막센터를 다녀오거나, 성전그림을 보면서 거기에 담긴 신비한 의미를 감동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만 끝나는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성막, 성전을 설명할때는 결코 그렇게 교육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성막 교보재하나로 그것만 설명하고 놀라운 의미를 거기까지만 설명하고 마친다면, 이는 성경이 오늘 우리에게 말씀하고 있는 것을 놓치는 것입니다. 이번 문화선교연구원 칼럼은 바로 이 주제입니다. 그리.. 2020. 3. 27.
IT에 물든 기독교? IT로 색칠하는 기독교! 한때 인터넷을 중심으로 얼음물을 뒤집어쓰는 퍼포먼스가 유행했다. 아이스버킷 챌린지라는 태그를 달며 사회 유명인들의 참여로 유명해진 행사였는데 이는 루게릭병을 치료하기 위한 기금을 모으는 뜻에서 시작된 일이었다. 이 행사를 전하는 동영상은 ‘페이스북에서만 1,700만ᅠ개가 만들어졌고 100억번 이상 조회’되었다. 또 이렇게ᅠ모인ᅠ돈은ᅠ‘6주ᅠ만에ᅠ총ᅠ1억ᅠ1,500만ᅠ달러에ᅠ달했다’. 이 기금을 받아 연구한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내놓으며 이 행사가 유의미한 일이었음을 증명했다. 이들은 루게릭병과 치매, 알츠하이머 등의 병 치료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발견하고 현재 쥐실험 단계에 있다고 한다. 시대가 변했다. 인터넷을 통해서 수많은 일들이 이루어진다. 어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2020. 3. 20.
도구보다 컨텐츠에 신경써야 할때! https://csibridge.org/74 도구보다 컨텐츠에 신경써야 할때! 1. 이젠 예배당에서 예배하느냐, 온라인으로 예배하느냐의 문제는 어느정도 된것 같다. 익숙하고 거룩함의 상징이었던 예배당을 떠나는 것이 어색하고 신앙과 연결되는 느낌이 있어서 충격도 커서 여러 다양한 반.. csibridge.org 2020. 3. 9.
어디서 예배드리든 서로 이해해주세요 https://csibridge.org/73 어디서 예배드리든 서로 이해해주세요 코로나19로 인한 모임에 제약이 가해지면서, 한국교회는 많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주일예배를 예배당에 모여서 함께 드리지 못하고 온라인예배로 전향하는 교회가 많아지면서 이를 두고 신앙관의 차이가.. csibridge.org 2020. 3. 7.